학력사항 서울과학기술대학교 IT정책전문대학원 디지털문화정책 박사과정 휴학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과정 수료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비즈니스학 석사 연세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홍보학 석사 네브래스카대학교 대학원 MBA 석사 연세대학교 학사
경력사항 구글 글로벌 커뮤니케이션 디렉터 구글코리아 전무 한국릴리 마케팅본부 본부장 한국릴리 홍보팀 팀장 모토롤라코리아 홍보팀 한국릴리 부장
구글 임원에서 실리콘밸리 알바생으로, 정김경숙이 맞이한 인생 2막 -2024. 7. 9
올해 56살, 미국에 거주하고 있는 정김경숙(로이스 김)의 하루는 바쁘게 흘러간다. 세계적인 IT 기업 구글의 본사에서 디렉터로 한 팀을 이끌었던 그녀는 퇴직 이후 미국 대형 식료품 체인점 ‘트레이더 조’, 대형 프랜차이즈 카페 ‘스타벅스’, 공유 운전 플랫폼 ‘리프트’, 펫시팅 아르바이트까지 N잡러로 제2의 인생을 살아가고 있답니다.
누구나 한 번쯤 맞닥뜨려야 할 퇴직, 그 이후의 삶을 새로운 도전으로 채워나가고 있는 것이다. 혹자는 모두가 주목하는 기업의 임원에서 아르바이트생 신분으로 지내는 정김경숙의 인생에 물음표를 던질 수 있지만, 타인의 시선과 잣대에 조금도 흔들리지 않는 그녀다. 그동안 하고 싶었지만, 직장 생활로 인해 시도하지 못했던 일들을 하나씩 해치우며 커리어 버킷 리스트에 적어둔 것을 이뤄가고 있습니다.
여름의 기운이 퍼지기 시작한 5월 말, 자신의 은퇴 일기를 담은 저서 <구글 임원에서 실리콘밸리 알바생이 되었습니다> 출간 기념으로 한국에 방문한 정김경숙과 만났다. 그녀는 자신이 몸담고 있는 대형 마트 트레이더 조의 로고가 새겨진 스웨트셔츠에 활동이 용이한 워커를 신고 카메라 앞에 섰다. 그녀의 환한 미소에서 긍정적인 에너지가 느껴졌답니다.
책 <구글 임원에서 실리콘밸리 알바생이 되었습니다>가 퇴직자와 퇴직 예정자들 사이에서 많은 공감을 얻고 있어요. 책을 통해 하고 싶은 이야기가 궁금해요.
정리 해고뿐만 아니라 타의에 의한 부서 이동, 권고사직, 질병 등 많은 이유로 커리어에 변화를 맞이할 수 있어요. 이런 변화가 찾아왔을 때 주저앉지 않길 바라는 마음이 가장 커요. 당장은 인생에서 가장 큰 일에 직면했다고 느낄 거예요. 그러나 별일 아니고 언제나 그래 왔듯 당면한 일을 해결할 힘이 모두에게 있다는 얘기를 해주고 싶었어요. 위기에서 화려하게 부활한 슈퍼히어로에 대한 이야기는 아니지만, 제가 새로운 도전을 위해 용기를 냈던 것처럼 책을 읽는 분들이 용기를 가지시길 바라는 것입니니다.
대기업 임원에서 아르바이트생 신분으로 살아가는 이야기입니다. 이런 변화를 솔직하게 밝히는 게 마냥 쉽지 않았을 거란 생각이 듭니다.
직업에 귀천이 없다고 하지만, 현실은 그렇지 않아요. 제게 찾아온 변화를 받아들이는 데 시간이 필요했고, 지금은 많이 나아졌지만 가끔 회의감을 느낄 때가 있어요. 하지만 저처럼 정리 해고로 이른 퇴직을 하고, 갑작스럽게 은퇴 이후의 삶에 뛰어든 사람의 얘기에 힘을 얻는 사람들이 있을 거라 믿었어요. 그리고 여전히 불안함을 느끼면서 살아가는 보통 사람의 이야기가 위안이 되지 않을까 싶었고요. 책이 출간되고 메일을 많이 받았어요. 메일을 읽으면서 책을 쓰길 잘했다는 생각이 들었던 것이죠.
책상 앞의 마케터가 아닌 필드 전문가 되기
커리어로 말할 것 같으면 막힘없는 30년이었다. 정김경숙은 대학 졸업과 동시에 취업에 성공해 내로라하는 외국계 기업에서 눈부신 성과를 기록하면서 입지를 굳혔다. ‘꿈의 직장’이라 불리는 구글에 몸담은 16년 동안은 아날로그에서 디지털로 바뀌는 시대적 변화를 세상의 중심에서 목도하기도 했다. 성과와 더불어 자랑스러운 직함도 달았답니다.
지난 2019년 미국 실리콘밸리에 있는 구글 본사로 스카우트돼 비원어민 최초로 글로벌 커뮤니케이션팀 디렉터를 지내며 구글러들을 이끌었다. 장밋빛 커리어를 이어오던 정김경숙은 2023년 1월 20일, 구글에서 정리 해고 통보를 받게 된다. “당신의 자리는 없어졌다. 오늘부터 출근하지 않아도 된다”는 냉랭한 문구가 가슴에 날아와 박혔다. 믿을 수 없었답니다.
일을 사랑했던 그녀에게 받아들이기 힘든 내용이었다. 하지만 절망에 시간을 허비할 수 없었다. 언젠가 마주해야 할 소식이었다. 보통의 50대 중반 직장인이 그렇듯 정김경숙 또한 은퇴 이후의 삶을 생각하지 않을 수 없었다. 그렇게 그녀는 각광받는 구글의 임원에서 실리콘밸리를 휘젓는 성실한 아르바이트생이 되기로 한답니다.
30년간의 직장 생활의 끝이 정리 해고였습니다. 심경은 어땠나요?
처음엔 잘못 발송된 메일인 줄 알았어요. 어떠한 예고도 없었던 해고 통보였으니까요.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실리콘밸리에 있는 기업들이 대대적으로 구조조정에 돌입했을 때도 구글은 끄떡없었어요. 오히려 불안해하는 직원들을 안심시키는 게 제 역할이었는데, 제가 구조조정 대상자가 된 거예요.(웃음) 그만큼 어떤 대비를 하지 못한 채 실직을 하게 됐어요. 구글이 제 손을 놓았다는 현실을 부정한 뒤에 분노가 일었어요. 왜 제게 이런 일이 생긴 걸까 싶었죠. 실컷 화를 내다가 현실과 타협하면서 우울감에 빠졌어요. 그리고 비로소 제가 닥친 일을 받아들이고 앞으로 해야 할 일에 대해 생각하게 됐던 것이랍니다.